ISO14001
고객을 가장 먼저 생각하는 기업, 투명하고 공정한 심사과정을 제공하겠습니다.
ISO 14001 인증이란?
ISO 14001은 모든 산업 분야 및 활동에 적용할 수 있는 환경경영시스템에 관한 국제규격입니다.
기업은 환경경영시스템을 통해 환경측면을 체계적으로 식별, 평가, 관리 및 개선함으로써 환경위험성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ISO 14001 인증 도입배경
1974년에 국제상공회의소(ICC)가「전세계 산업계를 위한 환경지침」을 발표했는데, 그 후 1989년「환경감사 Position Paper」를 작성하여 기업 내부의 환경관리 기법으로 정하고 개념과 기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습니다. 그리고 다음해인 1990년 10월에「지속적 발전을 위한 산업헌장(ICC 헌장)」이 발표되었으며, 이것이 오늘날 환경에 대한 관리 감사가 붐을 일으키게 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1991년 7월에는 “지속적 발전을 위한 산업계회의(BCBD)”가 국제표준화기구(ISO)에 환경관리 규격화를 요청하였으며, 이에 ISO는 국제전기 표준회의(IEC)와 공동으로 “환경에 관한 전략자문 그룹(SAGE)”을 설치하고 1992년에 ISO 내부에 전문위원회(TC 207)를 두어 오늘날의 환경경영규격인 ISO 14001 시리즈 제정을 검토하게 되었습니다. 한편 유럽을 중심으로 한 선진국에서는 환경보전을 위한 각종 제도가 이미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었습니다. 즉, 영국규격협회는 환경관리시스템 규격인 BS 7750 완성안을 1992년 3월에 발표하였는데, 이 영국규격을 기초로 EMAS가 재검토되어 1993년에 EU 환경규격 안으로 발간되었습니다. 또한 1992년에 브라질에서 개최된 “지구 Summit 회의”에서 “환경과 개발에 관한 리우 선언, 1995년에 폐기물의 국제간 이동을 규제하는 바젤 협약, 1996년에 폐기물의 해양 투기를 규제하는 런던 협약, 오존층을 파괴하는 물질에 관한 몬트리올 의정서가 체결되는 등 국제 환경경영 규격인 ISO 14000 시리즈 제정의 분위기가 성숙되었습니다. ISO 14000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는 1992년에 9월 국제표준화기구(ISO) 내에 환경경영 기술위원회(TC 207)가 설치되면서 본격화되기 시작하여 거듭된 보완 작업 끝에 1996년 9월 말 국제환경경영체계 규격인 ISO 14001이 제정되었습니다.
1 | 적용범위 | |
---|---|---|
2 | 인용표준 | |
3 | 용어와 정의 | |
3.1 | 조직 및 리더십 관련 용어 | |
3.2 | 기획 관련 용어 | |
3.3 | 지원 및 운영 관련 용어 | |
3.4 | 성과 평가 및 개선 관련 용어 | |
4 | 조직상황 | |
4.1 | 조직과 조직상황의 이해 | |
4.2 | 이해관계자의 니즈와 기대 이해 | |
4.3 | 환경경영시스템 적용범위 결정 | |
4.4 | 환경경영시스템과 그 프로세스 | |
5 | 리더십 | |
5.1 | 리더십과 의지표명 | |
5.2 | 환경방침 | |
5.3 | 조직의 역할, 책임 및 권한 | |
6 | 기획 | |
6.1 | 리스크와 기회를 다루는 조치 | |
6.2 | 환경목표와 환경목표 달성 기획 | |
7 | 지원 | |
7.1 | 자원 | |
7.2 | 역량 | |
7.3 | 인식 | |
7.4 | 의사소통 | |
7.5 | 문서화된 정보 | |
8 | 운용 | |
8.1 | 운용 기획 및 관리 | |
8.2 | 비상사태 대비 및 대응 | |
9 | 성과 평가 | |
9.1 | 모니터링, 측정, 분석 및 평가 | |
9.2 | 내부심사 | |
9.3 | 경영검토/경영평가 | |
10 | 개선 | |
10.1 | 일반사항 | |
10.2 | 부적합 및 시정조치 | |
10.3 | 지속적 개선 |
・체계적인 프레임워크 구축을 통한 지속적인 발전 도모 및 조직의 경쟁 우위 확보
・폐기물 및 에너지 소비 최소화를 통한 직접 비용 절감
・환경 사고의 사전 예방 및 환경 법규의 준수를 통한 관련 소송의 절감 및 제거
・에너지 사용량 감소, 폐기물 감소, 재활용 증가, 원자재 및 소모품 비용 절감
・환경성과의 지속적 개선을 통한 환경 문제점 해결
・국제적 신뢰 획득을 통한 대외 무역장벽 극복
・기존 비즈니스 관행에 지속가능한 발전 영역을 구축할 수 있는 관리 시스템 기반을 제공
・좋은 환경 관행의 세계적 공감대를 형성 및 Green 기업으로 이미지 개선
・기업이미지가 향상되어 매출증대 및 무역거래가 용이
・기업 내/외부 신뢰성 증대로 새로운 고객 확보가 용이
・품질혁신과 기술개발의 기반
・위기와 기회의 분석 후 위기 감소와 기회 증대 활동으로 기업의 발전 기여
・방침 및 목표 수립 후 달성을 위한 전사적인 활동 전개
・업무의 시스템화로 책임과 권한의 명확한 확립
・개인의 지식이 회사의 지식으로 이전되어 동반성장
・업무체계 및 업무기반 확립으로 품질 경쟁력 제고
・업무 및 작업 능률 향상으로 생산성 증대
・인원의 교육 등을 통한 적격성 확보로 품질 의식 제고 및 생활화
・경영자원의 효율적 이용
・지속적인 개선에 의한 품질 코스트의 절감으로 이익 증대
・정기적인 내부심사를 통해 기업의 문제 해결
유효한 종업원 수 | 심사 시간 1단계+2단계 (일수) | 유효한 종업원 수 | 심사 시간 1단계+2단계 (일수) | ||||||
---|---|---|---|---|---|---|---|---|---|
높음 | 중간 | 낮음 | 제한 | 높음 | 중간 | 낮음 | 제한 | ||
1-5 | 3 | 2.5 | 2.5 | 2.5 | 626-875 | 17 | 13 | 10 | 6.5 |
6-10 | 3.5 | 3 | 3 | 3 | 876-1175 | 19 | 15 | 11 | 7 |
11-15 | 4.5 | 3.5 | 3 | 3 | 1176-1550 | 20 | 16 | 12 | 7.5 |
16-25 | 5.5 | 4.5 | 3.5 | 3 | 1551-2025 | 21 | 17 | 12 | 8 |
26-45 | 7 | 5.5 | 4 | 3 | 2026-2675 | 23 | 18 | 13 | 8.5 |
46-65 | 8 | 6 | 4.5 | 3.5 | 2676-3450 | 25 | 19 | 14 | 9 |
66-85 | 9 | 7 | 5 | 3.5 | 3451-4350 | 27 | 20 | 15 | 10 |
86-125 | 11 | 8 | 5.5 | 4 | 4351-5450 | 28 | 21 | 16 | 11 |
126-175 | 12 | 9 | 6 | 4.5 | 5451-6800 | 30 | 23 | 17 | 12 |
176-275 | 13 | 10 | 7 | 5 | 6801-8500 | 32 | 25 | 19 | 13 |
276-425 | 15 | 11 | 8 | 5.5 | 8501-10700 | 34 | 27 | 20 | 14 |
426-625 | 16 | 12 | 9 | 6 | 10700 | 위와 같이 증가 |